Skip to content

Commit 50de2e0

Browse files
authored
Merge pull request #9 from pythonkr/feature/Add_talk_materials
발표 자료 공개
2 parents 46b32cf + 200d3a6 commit 50de2e0

19 files changed

+38
-0
lines changed

_talks/talk1.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0,4 +10,6 @@ categories:
1010

1111
- 발표 길이: 20분
1212

13+
- 발표 자료: [Link](https://drive.google.com/file/d/1Wo-LSk-CXSdVfgENF6Q_VaFmuIi-YFji/view)
14+
1315
FastAPI의 강점을 살리기 위해 SQLAlchemy 비동기 적용 및 pytest에서 비동기 적용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비동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발표입니다.

_talks/talk10.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0,6 +10,8 @@ categories:
1010

1111
- 발표 길이: 20분
1212

13+
- 발표 자료: [Link](https://drive.google.com/file/d/1341Mk3hGmtvfumLqpnXpGx7vE0hoDN87/view)
14+
1315
- 파이썬을 하다보면, 문득 멀티스레딩을 쓰면 좋지 않을까 싶은 때가 있습니다.
1416
- 저 같은 경우는 1년 전, 인공지능을 위한 웹 게임 시뮬레이터를 만들 때, 특정 유저들의 정보를 호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해보았습니다.
1517
- 구체적으로는 스레드 하나 당 유저 하나를 불러오고, 그것을 100명의 유저(테스트 단계에서나 100명이지 실제 AI구축 때는 그것보다 더 컸다고 합니다.)에게 반복하는 시스템이었습니다.

_talks/talk11.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0,4 +10,6 @@ categories:
1010

1111
- 발표 길이: 40분
1212

13+
- 발표 자료: [Link](https://drive.google.com/file/d/1il8SnQkp26T2ej0vVb13m0IxTRWG1e-u/view)
14+
1315
FastAPI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코드 기반 OpenAPI 문서 생성 기능을 활용하여 발표자가 밀고 있는 문서 우선 개발 철학과 방법, 그리고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사항을 소개합니다.

_talks/talk12.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0,6 +10,8 @@ categories:
1010

1111
- 발표 길이: 40분
1212

13+
- 발표 자료: [Link](https://drive.google.com/file/d/1F9SrobOtMZVaCGfjC5ovT7dwhcjQ5Q5W/view)
14+
1315
시대의 흐름에 역행해 ECS 로 배포하던 걸 EC2 로 변경해 배포 시간을 7분대에서 2분 후반으로 줄였습니다.
1416

1517
배포 스크립트를 pyinfra 로 구성했습니다.

_talks/talk13.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0,4 +10,6 @@ categories:
1010

1111
- 발표 길이: 20분
1212

13+
- 발표 자료: (준비중)
14+
1315
FastAPI 아키텍처 소개를 기반으로, FastAPI가 왜 MSA에 적합한지와 어떤 식으로 설계할 수 있는지에 대한 Best Practice를 소개합니다.

_talks/talk14.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0,6 +10,8 @@ categories:
1010

1111
- 발표 길이: 40분
1212

13+
- 발표 자료: (준비중)
14+
1315
부분(Partial) 서버 사이드 렌더링은 htmx, API 구현은 Django Ninja 적용하는 등 주목받고 있는 라이브러리를 Django 5.0에 비동기(async)와 병행 적용하며 겪을 수 있는 좌충우돌(troubleshooting) 사례를 소개합니다.
1416
실제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문제 상황을 기반으로 하여 실무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합니다.
1517

_talks/talk15.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0,6 +10,8 @@ categories:
1010

1111
- 발표 길이: 40분
1212

13+
- 발표 자료: [Link](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0GktDKhTIpfjQR6kVxTBOvRE5j9Onqbw/edit)
14+
1315
TPS 0부터 시작한 서버가 TPS 2700에 달하기까지 어떤 문제를 겪었고, 그것들을 어떻게 하나씩 해결해 나갔는지에 대해서
1416

1517
1. 최초 코드의 어떤 레이어에 어떻게 캐시를 적용했는지, 왜 그렇게 했는지 (Django에서 캐시를 다루면서 겪는 고충에 대해서 다룹니다)

_talks/talk16.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0,6 +10,8 @@ categories:
1010

1111
- 발표 길이: 40분
1212

13+
- 발표 자료: [Link](https://drive.google.com/file/d/14kKdTtI61rOQ3uSzaaqJkQrVTmBDpiZe/view)
14+
1315
순수 파이썬 코드로 짜여진 FastAPI 내부는 어떤 방식으로 돌아가고 있을까요?
1416
이 던전을 한층 한층 내려가다 보면, FastAPI가 어떻게 동작하고 있는지, 잘 쓰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하는지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1517
FastAPI 던전 공략에 함께 하실 용사분 모집합니다.

_talks/talk17.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0,4 +10,6 @@ categories:
1010

1111
- 발표 길이: 20분
1212

13+
- 발표 자료: [Link](https://drive.google.com/file/d/1NitCsSD-AcLj7v9wMiztY8bd98IZZjYR/view)
14+
1315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Django REST Framework를 이용하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팁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파이썬이라는 장점과 더불어, 많은 것이 갖춰져 있는 프레임워크라는 날개를 달고 백엔드를 서버를 빠르게 구축하기 위한 팁을 나열하고자 합니다.

_talks/talk18.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0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0,6 +10,8 @@ categories:
1010

1111
- 발표 길이: 40분
1212

13+
- 발표 자료: [Link](https://drive.google.com/file/d/1gbUh2NT8E_8HqsJBFQo_Rq89LNS7wJyN/view)
14+
1315
- 서버리스 아키텍처 소개
1416
- Serverless Framework 소개
1517
- 서버리스 API 인프라 구축 과정

0 commit comments

Comments
 (0)